티스토리 뷰

반응형

KBO(한국프로야구) 가 얼마 전 개막이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바뀐 KBO(한국프로야구) 무료 중계 시청방법에 대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KBO 중계 무료 바로가기⚾

 

 

 

 

 

1. KBO 중계 채널

 

프로야구 중계는 TV와 인터넷으로 시청이 가능합니다.

 

 

TV로 보는 방식은 지상파 및 케이블 채널을 통해 시청이 가능합니다.

 

인터넷으로는 2024년도부터 티빙에서 독점으로 중계권을 갖고 있어, 티빙을 통해 프로야구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1) TV 시청

  • 지상파 : MBC, KBS, SBS
  • 케이블 : MBC스포츠플러스, KBSN스포츠, SBS스포츠, SPOTV, SPOTV2

 

2) 인터넷 시청 (모바일 / PC / 태블릿)

  • 티빙 (Tving)

 

 

 

티빙으로 KBO시청하기⚾

 

 

 

 

 

2. 티빙 이용방법

위에 설명해 드렸듯이 TV로 보던 야구팬들은 영향은 없겠으나, 인터넷(온라인)으로 보던 사용자들은 무료에서 유료로 바뀌었기 때문에 이용금액을 부담해야 하는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서 티빙 가입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고, 할인과 무료 이용방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선 티빙 가입과 상품에 대해서 살펴보고, 할인/무료 이용방법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1) 티빙 요금제 상품

티빙 요금제는 총 4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용금액이 다르며, 받을 수 있는 혜택 또한 요금제별로 구분됩니다.

 

 

 

티빙 가입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가지고 계신 모바일로도 가능하며, PC 역시도 가능합니다.

 

 

3. 티빙 할인 방법

위에 설명드린바처럼 이제는 KBO를 인터넷으로 시청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료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해졌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티빙 할인 방법에 대해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

 

어떤 방법으로 티빙을 할인받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네이버 멤버십 (네이버 동시 혜택)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가입하면 티빙 시청권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을 이용하면 네이버 쇼핑, 네이버 예약, 네이버 여행 등의 적립 혜택과 웹툰 제공, 디지털 콘텐츠(스포티비 / 티빙 / 시리즈온 영화 중 1개)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을 통해 네이버쇼핑/웹툰/디지털콘텐츠 등의 혜택도 함께 누리자.

 

 

 

내가 만약 네이버쇼핑을 이용하고 있다면 이번에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을 가입하면서 티빙을 공짜로 이용하는 것도 매우 좋은 방법입니다.

 

네이버멤버십 혜택은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확인해보시고, 혜택이 끝나기전에 한달 무료 이용도 활용해보세요.

 

 

 

한달 무료 이용하기⚾

 

 

 

 

 

 

 

■ OTT쉐어 서비스 이용 (75% 할인)

 

티빙을 장기간 이용하기 위해서는 OTT쉐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100원 및 한달 무료 이벤트와 같은 것들은 이벤트 기간이 끝나면 티빙 요금제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데요.

 

매년 OTT가격이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 OTT쉐어 서비스가 더 인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75% 할인 바로가기⚾

 

 

 

OTT쉐어 서비스를 이용하면  약 1/4 (75%할인)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피클플러스가 OTT쉐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업체입니다. 벌써 40만명을 넘게 가입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약 OTT쉐어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17000원 요금을 4250원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4. 마치며

지금까지 KBO 중계 시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올해부터 바뀐 정책과 방법 때문에 기존 야구팬들의 불만이 커진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중계권을 얻은 티빙의 초반 실수도 있었지만 유료화를 통해 거둔 수익을 또다시 팬들에게 좋은 서비스로 보답하리라는 기대를 갖고 있습니다. 

 

영화, 드라마, 스포츠 같은 콘텐츠들이 점차 유료화가 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무료로 사용하던 콘텐츠들도 모두 유료화가 되는 것은 막지 못할 것입니다.

 

조금씩 유료화를 통해 서비스를 전환하고 유료화를 통해 거둔 수익을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돌려주는 좋은 구조가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